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이가 늦게 걷고 말하는 이유는? 꼭 알아야 할 5가지 발달 신호

by 스토리월드장 2025. 4. 15.

 

처음엔 ‘늦되기일 뿐이야’라고 스스로를 위로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마음속 불안이 커졌다. 혹시 우리 아이만 이상한 걸까? 문제가 있는 걸까? 이런 질문은 많은 부모들이 겪는 자연스러운 감정이지만, 그럴수록 필요한 건 ‘비교’가 아니라 ‘이해’다.

 

아이가 늦게 걷고 말하는 이유_꼭 알아야 할 5가지 발달 신호
아이가 늦게 걷고 말하는 이유_꼭 알아야 할 5가지 발달 신호

왜 우리 아이만 느릴까? 혼자 걱정했던 그날의 기록

처음으로 아이가 또래보다 말이 늦다는 걸 느꼈던 건 놀이터에서였다. 다른 아이들은 엄마에게 “엄마 저기 봐!” 하고 외치고 있었지만, 우리 아이는 가만히 손가락만 가리켰다. 걸음도 좀 늦었다. 돌을 지나고 나서야 겨우 휘청휘청 걷기 시작했다. 말은 그보다도 더 늦었다. 아이는 “엄마”보다는 손짓과 눈빛으로 의사를 표현했다.

아이가 늦게 걷고 말하는 5가지 주요 원인

원인 1: 신체 발달의 늦은 시작
근육 긴장도가 부족할 수 있고, 코로나로 인한 실내 생활로 감각 자극과 움직임 탐색 기회가 적었다.

 

원인 2: 청각 및 감각 문제
"말을 못 하는 게 아니라, 못 듣는 건 아닐까?" 청력 문제로 단어 습득과 문장 구성이 늦어질 수 있다.

 

원인 3: 정서적 불안 또는 자극 부족
낯가림, 영상 시청 위주의 자극은 언어 표현에 영향을 준다.

 

원인 4: 사회적 상호작용의 부족
대화는 언어의 핵심. 또래와의 놀이가 부족하면 말도 늦는다.

 

원인 5: 발달 지연 혹은 발달장애 스펙트럼
자폐 스펙트럼 등은 상호작용이 적고 문장 구성에 어려움을 겪는다.

연령별 걷기와 말하기의 정상 범위

발달 항목 평균 시작 시기 관찰 포인트
첫 걸음 12~15개월 스스로 중심 잡고 3~5걸음 걷기
단어 말하기 12~18개월 “엄마”, “빵”, “줘” 등 단어 표현
두 단어 연결 18~30개월 “물 줘”, “엄마 이거” 등 문장 시작
또래와 모방 24~36개월 친구 따라하기, 흉내내기 가능 여부
문장 사용 36개월 이후 4~5단어 이상 연결된 문장 구사

✔ 한두 달 늦다고 무조건 걱정할 필요는 없지만, 6개월 이상 지연이 보이면 전문 평가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집에서 부모가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

  • 소리를 들었을 때 고개를 돌리는가?
  • 원하는 것이 있을 때 손짓 외 표현을 하는가?
  • 그림책을 보며 말소리를 따라하려 하는가?
  • 자주 사용하는 몸짓이나 소리가 있는가?

✔️ 포인트: 말은 '듣는 환경'과 '함께 말하는 상호작용' 속에서 가장 빠르게 자랍니다.

늦는 게 아니라 ‘천천히 가는 것’ 일 수 있다

“우리 아이는 말이 너무 늦어요”라는 말에 숨겨진 불안은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이가 표현하려는 의지를 보이고, 매일 조금씩 단어를 늘려간다면 괜찮습니다. 실제로 만 3세가 지나 말문이 트인 아이도 문제없이 성장하고 있습니다. 중요한 건 조기 관심과 사랑, 신뢰입니다.

아이는 기다림 속에서 피어난다

언어는 단순히 단어를 외우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하는 창구입니다. 그 문을 여는 순간, 아이는 자신만의 세상을 펼쳐나가게 됩니다. 우리가 해줄 수 있는 가장 큰 치료는 매일의 대화와 놀이로 그 마음을 어루만져 주는 것이 아닐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