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중 무역 전쟁 격화: 트럼프 미국 대통령, 중국산 수입품 관세 125% 전격 인상 - 미국 주식과 한국주식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by 스토리월드장 2025. 4. 10.

미국 대통령 트럼프 중국 관세 인상 발표
미국 대통령 트럼프 중국 관세 인상 발표

 

발표 일시: 2025년 4월 9일 오전 11시(워싱턴 D.C. 기준)

2025년 4월 9일, 세계는 다시 한번 긴장감에 휩싸였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관세를 125%로 인상한다고 발표한 것입니다. 이는 단순한 세율 조정이 아닌, 글로벌 경제의 중심축을 뒤흔드는 강력한 정치·경제적 선언이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파격 선언: "존중이 부족하다면, 대가를 치르게 될 것"

트럼프 대통령은 Truth Social 계정을 통해 “중국은 세계 시장에 대한 최소한의 존중도 보여주지 않고 있다”라고 지적하며, 이번 관세 인상의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무역 역조와 기술 절도 문제를 오랫동안 문제 삼아온 그는 드디어 "결단의 날"을 선택한 셈입니다.

 

 

75개국에는 기회 제공, 관세 유예로 전략적 유도

중국과는 달리, 트럼프는 무역 협상에 긍정적인 75개국에 대해 90일 간 10%의 관세 유예 조치를 부여했습니다. 이는 미국 중심의 무역 질서 재편을 위한 전략적 포석으로 보입니다.

 

 

중국의 즉각적 대응: "84% 보복 관세, 끝까지 싸울 것"

중국도 물러서지 않았습니다. 중국 정부는 미국산 제품에 대해 84%의 보복 관세를 즉시 부과한다고 밝혔습니다. 중국 상무부는 성명을 통해 “미국은 실수를 반복하고 있다”며 강한 유감을 표시했고, "끝까지 싸울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경고까지 덧붙였습니다.

 

 

USMCA를 준수한 캐나다와 멕시코는 관세 면제

WSJ 보도에 따르면 백악관은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을 충실히 이행하는 캐나다와 멕시코의 상품에 대해서는 관세 면제를 유지한다고 밝혔습니다. 백악관 대변인은 “USMCA를 준수하는 상품은 0% 관세를 계속 적용받게 된다”라고 설명했습니다.

Reuters에 따르면, 해당 무역협정을 따르는 캐나다와 멕시코의 상품은 대체로 관세에서 면제되며, 이 면제는 별도 통보가 없는 한 무기한 지속될 것이라 전했습니다.

또한 Holland & Knight의 보고서에서는 “USMCA 자격을 갖춘 수출품은 글로벌 관세나 인상된 상호 관세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라고 확인했습니다.

단, 중요한 점은 USMCA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 제품에는 여전히 25%의 관세가 적용되며, 에너지 및 칼륨과 같은 일부 항목에는 10% 관세가 부과된다는 사실입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3월에 이미 발표한 관세 체제를 연장한 것입니다.

 

 

경제 전문가들의 예측: 글로벌 파급력은 상상을 초월

세계적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이번 조치가 중국 GDP의 2.4%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고 분석했고, UBS는 중국 경제 성장률이 4% 이하로 떨어질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 RSM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조 브루수엘라스는 “소비자 심리, 기업 투자, 글로벌 공급망 전체에 연쇄 충격이 일어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미국 증시는 상승 반응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에 대한 관세 125% 인상 및 다른 국가들에 대한 90일 관세 유예 발표 이후 뉴욕 증시는 크게 반등했습니다. S&P 500 지수는 약 7% 상승했고, 나스닥은 8% 이상 급등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대부분 국가에 대한 90일 관세 유예 조치를 긍정적으로 평가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한국 주식 시장에도 먹구름…그러나 기회도 있다

한국은 수출 중심 경제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미중 간 충돌의 직격탄을 피하기 어렵습니다. 반도체, 철강, 자동차 업종이 특히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그러나 대중 관세 인상으로 인해 한국 제품이 대체재로 주목받는 기회도 동시에 열리고 있습니다. 특히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현대차와 같은 대기업들은 글로벌 공급망을 다변화하고, 현대처럼 북미 생산 기지를 만드는 미국 투자 전략을 통해 이번 상황을 기회로 삼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지금은 한국 기업의 회복탄력성과 전략적 유연성을 평가할 수 있는 시험대이기도 합니다.

이에 오늘부터 시작할 한국 주식 시장 또한 변동성에 잘 대처해야겠습니다. (단기적으로 우리나라 대통령 선거로 인한 개별 종목별 변동성까지 추가 고려해야 합니다.) 

 

 

결론: 투자자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이처럼 글로벌 무역질서가 격렬하게 흔들리는 시점에서 우리는 "리스크 관리"와 "포트폴리오 다변화"의 중요성을 다시금 깨달아야 합니다. 특정국 의존도를 낮추고, 내재된 경쟁력을 강화하는 기업들에 주목하는 것이 장기적인 투자 전략의 핵심입니다.

"지금은 단순한 위기가 아닙니다. 변화를 기회로 삼는 자만이 다음 시대의 주인공이 될 것입니다."